SEARCH

검색창 닫기

강방천 “현재 코스피 거대한 박스권 형성···지수 하락은 좋은 자산에 투자할 기회로 봐야”

[이사람] 가치투자 1세대 ‘동학개미의 구루’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

TSMC등 담은 '플랫폼 액티브' ETF 2종

한 달 만에 순자산 2배 늘며 성공적 안착

메타버스 잠재력 크지만 투자는 유보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이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있는 에셋플러스자산운용 사옥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성공 투자의 제1법칙은 좋은 기업을 저렴할 때 여러 번 나눠 매수해 오래 함께해야 한다는 겁니다.”

최근 에셋플러스자산운용 본사에서 만난 강방천 회장이 기자에게 귀띔한 자신의 성공 투자 노하우다. 강 회장은 금융투자 업계의 살아있는 전설이다. 외환위기 당시 1억원의 종잣돈을 156억원까지 불려 유명해진 ‘가치투자 1세대’이자 60세가 넘어서도 활동 중인 현역 펀드매니저다. 최근에는 언론과 유튜브 채널 등에 출연해 30년 투자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1,000만 동학개미의 ‘투자 구루’로도 불린다.

가치투자 대가인 강 회장의 이름이 최근 주식시장에서 다시 오르내리고 있다. 지난달 16일 ‘강방천표 ETF 2종’을 데뷔시키며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기 때문이다. 하필 그날 강 회장과 함께 동학개미의 투자 구루로 불리는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역시 액티브 ETF를 출시하며 주식시장에서 두 거물이 맞대결하는 모습이 연출돼 언론들도 주목했다. 상장 4주째인 현재 글로벌액티브플랫폼과 코리아액티브플랫폼의 순자산 총액은 2배가량 늘어나며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가격은 가치에 종속된다”면서 스스로를 가치론자라고 규정하는 강방천 회장에게 성공 투자 방법론에 대해 들어봤다.

-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이 오랜 기간 공모펀드에 주력하다 최근 ETF시장에 진출했다. 지난달에 출시한 ‘플랫폼 액티브 ETF’에 대해 이야기 해달라.

“지난달 출시한 ETF ‘플랫폼 액티브’라는 이름에 제가 생각하는 투자 철학과 좋은 기업에 대한 판단이 축약돼 있다.”

- ETF가 한창 운용 업계에 화두로 떠올랐을 때가 있었는데, 그때 ETF시장에 진출하지 않은 이유가 있다면.

“그간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은 공모펀드에 주력하면서 최근 2년간 AUM이 83% 성장했다. ETF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을 때 그 시장을 거들떠보지 않은 이유는 지수 수익률을 그대로 복제해서는 돈을 벌 수 없다는 생각에서였다. 성공적인 투자 방정식은 혁신적인 꿈을 가진 기업을 싼값에 매수해 오랜 시간 함께 하는 것인데 단순 평균값인 지수만을 쫓아서는 좋은 기업을 저렴할 때 살 수 없다는 판단이 들었다.”

- ETF는 곧 패시브 투자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간 패시브 투자의 성과가 좋았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어떤 운용사들은 패시브펀드를 최고의 상품인 듯 홍보한다. 패시브펀드의 성공은 최근 십수 년간 불어난 엄청난 돈의 행렬이 만든 착시일 뿐이다. 지난 2008년 이후 전 세계 중앙은행이 돈을 풀면서 13년간 금융 확장기가 계속됐으니 지수는 당연히 좋을 수밖에 없죠. 패시브의 본질 때문에 성과가 좋다고 착각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패시브펀드는 벤치마크 비중대로 투자하니 주가가 저렴할 때는 사지 못하고 주가가 오르면 비싼 값에 더 사게 된다.”

- 패시브 투자를 부정적으로 보는 건가.

“패시브는 좋은 기업을 찾으려는 노력을 등한시하기 때문에 꿈이 없고 가치가 없는 기업에 돈을 몰아주기도 한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제약바이오 열풍이 불면서) 신풍제약이라는 회사가 코스피200에 편입되기도 했다. 혁신적인 꿈을 가진 기업에 한정된 돈을 배분하는 게 자본시장의 존재 이유지만 기계적으로 동등하게 돈을 몰아주는 패시브 투자는 자본시장의 본질에 역행하는 해로운 존재다.”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성형주기자


- 그럼에도 최근 ETF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것은 해답을 찾은 건가.

“그렇다.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유지하기 위해 ‘좋은 기업’을 담아낸 ETF를 출시하면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좀 더 지속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가치를 담아낼 수 있는 기초자산이라면 환매로 주가가 흔들려도 이를 받아줄 수요가 충분하다. 결국 좋은 기업이란 훌륭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이다. 좋은 비즈니스 모델의 조건으로 △이익의 확장 가능성 △이익의 지속 가능성 △이익의 비변동성 △이익의 예측 가능성을 들 수 있다.”

- 그럼 어떤 기업들이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플랫폼 ETF에 포함될 수 있나.

“플랫폼은 계속 존재해왔고 앞으로도 영속할 사업 모델이다. 기술적 진보가 가속되면서 기획·연구개발·유통 등 A부터 Z까지 혼자 다 하는 직선 조직은 더 이상 생존이 어려워졌다. 조직이 유연해지면서 파운드리·위탁생산(CMO)·임상대행(CRO)처럼 산업은 ‘분절화’되고 있으며 이 추세는 계속될 거다. 그래서 우리는 플랫폼을 ‘분절화된 밸류체인을 장악한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재정의했고 회사 내부에도 ‘비즈니스모델리서치센터(BMR)’를 조직해 각 분야의 1등 기업을 찾아내고 있다.”

- 흔히 플랫폼이라고 하면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인터넷 기업을 떠올리는데,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글로벌 플랫폼 ETF에는 어떤 기업들이 포함돼 있나.

“글로벌 파운드리 1위 TSMC와 미국 의료기기 업체인 인모드 등이 편입돼 있다.”

- 최근 글로벌시장의 화두는 단연 메타버스인데, 이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글로벌 증시뿐 아니라 메타·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MS) 등 거대 기업까지 메타버스에 관심을 갖는 것은 블록체인이라는 가상세계를 구성할 인프라가 갖춰졌기 때문이다. (이것이) 새로운 블루오션이될 것이다.”

- 현재 메타버스 관련 기업들을 눈여겨보고 있나.

“블록체인은 디지털 자산에 영혼을 불어넣는 키 값이다. 디지털 공간 속 경제 매개물이 등장할 충분한 근거가 생겨 메타버스는 존재할 수 있는 산업이다. 다만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 시점에서 어떤 기업이 평균 이상의 좋은 기업인지 판단이 확고하게 들지 않는다.”

- 앞으로 코스피지수의 흐름이 어떨 것으로 보나.

“현재 코스피가 거대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는 단계다. 2008년 이후 계속된 유동성 확장기가 막을 내릴 준비 단계에 들어섰고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대비해 한국은행이 선제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는 악재가 있어 올해 세운 고점(3,350선)을 재돌파하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그렇지만 국내 증시에서 시가총액 비중이 큰 반도체와 금융주의 이익이 견고하고 밸류에이션 매력도 갖춰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 내년에 어떤 자세로 투자를 하는 게 좋을까.

“너무 비관적이면 투자 기회를 잃고 너무 낙관적이면 돈을 잃는다고 한다. 현재 시장을 너무 비관할 필요는 없으며 지수가 악화될수록 좋은 자산에 손댈 수 있는 기회로 봐야 한다.”
이승배 기자
doer0125@sedaily.com
< 저작권자 ⓒ 라이프점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

팝업창 닫기